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내여행
- N게이지
- N스케일
- 요도바시카메라
- TOMIX
- Train model
- tram
- 트램
- 무가선
- 카토
- 철도모형
- Model train
- 해외여행
- 동경
- 일본여행
- model railroad
- 토요코인
- 출렁다리
- 당일여행
- 도쿄와이드패스
- 신칸센
- 후쿠오카
- 토믹스
- N scale
- Kato
- 철도
- 기차모형
- 철도여행
- 도쿄
- 흔들다리
- Today
- Total
목록교통이야기 (5)
지름길닷컴™의 철도편력
어제(11/22) 충북 오송 고속철도 궤도기지 내에 위치한 무가선트램 시험선 개소식이 있었습니다. 조금 늦게 도착하니 앞쪽 외부에서는 한창 개소식을 진행중에 있고, 뒤쪽문으로 들여다 보니 무가선트램이 대기중이네요. 레일 단면을 눈여겨 보세요. 차고 앞쪽과 행사장 입니다. 열차는 시승을 위해 첫번째 정거장으로 갔습니다. 전차선이라고 하기 뭐한 충전용 급전시설이 보입니다. 위 사진보다 먼적 찍은.. 시승행사 가는 모습입니다. 잘 휘어지죠? 침목 없이 매립하기에 하얀색(합성수지?)의 레일 고정장치가 보입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접지인듯 합니다. 배수 및 다용도?(전기줄이 몇가닥 있는데.. 시험용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멘홀입니다. 바퀴의 플렌지가 지나는 레일 홈에도 구멍이 뚫려있어 물이 빠집니다. 분기기 텅레..
세종시에 위치한 한국개발연구원 전경 국가(중앙 or 지방)에서 시행하는 사회기반시설(SOC)의 건설은 국민의 피땀 어린 세금을 사용하기에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여야 만 추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꼭 거치는 것이 타당성 조사인데.. 사전타당성조사와 예비타당성조사가 어떻게 다른지 경험에 의해 설명해 봅니다. 사전 타당성 조사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꼭 사전 타당성 조사가 아닌 "~구상용역", "~검토용역" 등의 이름으로 철도사업 추진 체계의 최초 절차인 최상위기본계획(국가철도망 구축계획/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의 수립권자(국토교통부/시도지사)에게 새로운 사업을 건의하기 위한 근거로만 사용될 뿐입니다. 이후 예비타당성조사는 망구축계획에 포함된 노선을 대상으로 실제 사업 추진(본타당성조사및기본계획, 기본및실시..
본 글은 2017년 11월 13일 투데이스피피씨(http://www.todaysppc.com/mbbs/view.php?id=free&no=381259)에 작성했던 글을 옮겨왔습니다. 몇일전 서울-부산 여행은 자가용이 가장 싸다라는 글이 있었습니다. http://www.todaysppc.com/mbbs/view.php?id=free&no=380944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나라 마저 그렇다 라고 생각하면 좀 아쉬운 점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저도 장거리 여행때는 비용뿐만 아니라 짐, 아이들, 환승불편, 소요시간 등 여러가지 이유에서 운전에 대한 부담감(피로, 사고걱정 등)에도 불구하고 차를 끌게 됩니다. 원글의 댓글에서도 몇몇 분이 보험료, 차량정비와 같은 감가상각을 말씀하셨지만.. 개인의 비용적인 ..
트램 이야기가 나온 김에 전부터 포스팅하려 했던 내용 마저 올려봅니다. 예전에 비슷한 주제로 고무바퀴 트램을 소개한적 있었는데요. http://cafe.daum.net/kicha/ANo/19576 2009년이네요. 최근 트램의 동향은 무가선 주행입니다. 도시철도(메트로) 시스템은 무인화, 제3궤도 전력 공급을 통해 깔끔하고 유비보수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죠. 트램은 1. 과거 베터리 방식 부터 현재 2. 고용량 베터리 방식이나 슈퍼캐퍼시터를 활용한 방식으로 3. 상부접촉식과 4. 하부접촉식 제3궤도 급전(하부)인데 5. 접촉식과 6. 비접촉으로 나눠서 가공전차선을 줄여가는 추세입니다. 그러한 시스템들을 몇가지 소개해 봅니다. 1. Ni-MH 베터리를 활용한 기존 무가선방식은 공조시스템(에어컨)사용에 재한..